갑자기 ‘빙모상’이라는 단어를 듣고 뜻을 몰라 당황했던 경험, 있으신가요? 장례식장이나 회사에서 이런 단어를 접하게 되면 순간 어리둥절해지죠. 이제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 오늘은 빙모상의 뜻과 빙부상과의 차이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지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이 글을 읽고 나면 빙모상이라는 단어가 친숙하게 느껴질 거예요!
빙모상의 뜻, 한자 해석부터 알아보자
‘빙모상(聘母喪)’은 ‘부를 빙(聘)’, ‘어머니 모(母)’, ‘상사할 상(喪)’으로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장가들어 맞이한 어머니의 죽음’ 을 뜻해요. 단순히 ‘어머니의 죽음’이라고만 생각하면 조금 부족하죠?
여기서 중요한 건 ‘빙(聘)’이라는 글자입니다. ‘빙’은 ‘부르다’라는 뜻 외에도 ‘장가들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빙모상은 결혼을 통해 얻게 된 어머니, 즉 장모님의 죽음을 뜻하는 격식 있는 표현인 거죠. ‘빙모’ 자체가 장모님을 공경하는 표현이라는 것을 기억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빙부상’도 마찬가지로 장인어른의 죽음을 의미하며, ‘빙(聘)’자는 ‘장가들다’라는 의미에서 유래하여 아내의 부모님을 높여 부르는 표현으로 쓰인답니다. ‘장인상’, ‘장모상’보다 훨씬 정중하고 격식 있는 표현 이라고 할 수 있죠.
빙모상과 빙부상,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빙모상과 빙부상은 모두 ‘빙(聘)’이라는 한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지만, 대상이 다르다는 점이 차이에요. 빙모상은 장모님의 죽음 을, 빙부상은 장인어른의 죽음 을 의미하죠.
두 용어 모두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주로 공식적인 자리나 부고 알림 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회사 게시판에 동료의 장모님 부고를 알릴 때 ‘빙모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겠죠. 하지만 내 장모님의 부고를 직접 알릴 때는 ‘장모님 상’이라고 하는 게 더 자연스러워요.
빙모상, 누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할까요?
빙모상은 사위가 직접 사용하는 표현은 아니라는 점 을 기억해야 해요. 자신의 장모님이 돌아가셨다고 ‘빙모상’이라고 말하기보다는 ‘장모님 상’이나 ‘어머니 상’이라고 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빙모상은 주로 사위의 친구나 친척, 또는 제3자가 사위의 장모님의 부고를 전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에요. 상대방의 부모님을 존중하고 예의를 갖추는 방식 으로 해석될 수 있죠. 타인의 장인, 장모를 지칭할 때 ‘빙부’, ‘빙모’를 사용하는 건 상대방에 대한 예의를 갖추는 행위 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빙모상에 대한 핵심 정리: 궁금증 해소
빙모상은 장모님의 죽음을 의미하는 격식 있는 표현 이에요. ‘빙(聘)’이라는 한자는 ‘장가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결혼으로 인연을 맺은 어머니인 장모님을 공경하는 표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빙부상은 장인어른의 죽음을 의미하며, 빙모상과 마찬가지로 주로 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 됩니다. 빙모상이나 빙부상은 타인의 장인, 장모를 지칭할 때 사용하고, 자신의 장인, 장모를 지칭할 때는 ‘장인상’, ‘장모상’이 더 적절 해요. 회사 게시판에 동료의 부고를 올릴 때는 ‘빙부상’, ‘빙모상’을 사용하고, 자신의 부모님에 대해서는 ‘부친상’, ‘모친상’ 또는 ‘아버지 상’, ‘어머니 상’이라고 표현하는 게 맞습니다.
빙부상, 빙모상 때 사위의 역할은 어떻게 될까요?
부모님 상(부친상, 모친상)과 달리 빙부상이나 빙모상에서는 사위의 역할이 조금 달라요. 아내 쪽 형제 중 남자 형제가 있다면 사위는 상주 역할을 맡지 않아도 됩니다 .
하지만 아내가 외동딸이거나 여자 형제만 있는 경우에는 사위가 혼주 역할을 맡아 장례를 치러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이는 가족 구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맞춰 적절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해요. 요즘은 예전과 달리 가족 구성원의 의견을 존중하여 상주를 정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한눈에 보는 빙모상, 빙부상, 장모상, 장인상
용어 | 의미 | 사용 맥락 |
---|---|---|
빙모상 | 장모의 죽음 | 타인의 장모를 높여 부르는 표현, 공식적인 자리, 부고 알림 등 |
빙부상 | 장인의 죽음 | 타인의 장인을 높여 부르는 표현, 공식적인 자리, 부고 알림 등 |
장모상 | 장모의 죽음 | 사위가 직접 사용하는 표현 |
장인상 | 장인의 죽음 | 사위가 직접 사용하는 표현 |
빙모상에 대한 오해와 진실, 마무리
이제 빙모상이라는 단어가 조금은 친숙해지셨나요? 이 글이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다른 장례 관련 용어에 대한 궁금증이 있다면 언제든지 제 블로그를 방문해주세요. 더 유익한 정보와 함께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QnA 섹션
Q1. 빙모상과 장모상은 어떻게 다른가요?
A1. 빙모상은 타인의 장모님의 사망을, 장모상은 자신의 장모님의 사망을 알릴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빙모라는 단어 자체가 장모님을 높여 부르는 표현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자리나 부고 알림 등에서 사용됩니다.
Q2. 빙부상, 빙모상은 어떤 상황에 사용하면 좋을까요?
A2. 빙부상, 빙모상은 주로 타인의 장인, 장모의 부고를 알릴 때 사용하는 격식 있는 표현입니다. 회사 게시판이나 공식적인 안내문 등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장인상’, ‘장모상’ 또는 ‘아버지 상’, ‘어머니 상’을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Q3. 사위는 빙모상 때 반드시 상주 역할을 해야 하나요?
A3. 아내 쪽 형제 중 남자 형제가 있다면 사위는 상주 역할을 맡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아내가 외동딸이거나 여자 형제만 있는 경우에는 사위가 혼주 역할을 맡아 장례를 치러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가족 구성원의 합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Q4. 빙모상과 관련된 다른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어디에 문의해야 할까요?
A4. 장례 관련 전문가나 상조회사, 또는 가까운 지역의 장례식장에 문의하시면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나 서적을 참고하실 수도 있습니다.